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

by 은동이2 2023. 1. 24.
반응형

세균과 바이러스라는 이름만 들어도 우리는 안 좋은 단어라는 것은 안다. 하지만 단순 감기가 걸렸을 때 우리는 이것이 세균에 의한 감염인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인지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다. 이렇게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는 무엇인지 알아보려 한다.

1. 세균

세균은 생물체 가운데 가장 미세하고 하등에 속하는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단세포 생활체로, 스스로 에너지와 단백질을 만들며 생존한다. 세균이 세포막·세포벽·핵산·단백질 등 하나의 독립된 세포로 이뤄져 있다.

세균의 크기는 0.2~10㎛ 정도로 크며 광확현미경으로도 충분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세균성 질병으로는 황색포도상구균, 콜레라, 파상풍, 백일해, 결핵 등이 있다.
세균은 온도, 습도, 영양성분 들이 적정하면 자체 증식이 가능하며 일정량이상의 균이 존재해야 발병이 가능합니다.
세균과 바이러스 증상은 비슷하나 세균감염치료는 항생제 등을 사용해 치료하며 세균은 2차 감염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2.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유전정보가 들어 있는 핵산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단백질이 그 구조의 전부다. 바이러스는 혼자서는 절대로 살아갈 수 없고, 숙주가 되는 생물이 있을 때에만 증식을 하며 살아간다.

바이러스는 10~300㎚로 세균보다 훨씬 작으며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볼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성 질병으로는 최근 유행한 코로나19, 신종플루, 메르스, 노로바이러스, 조류 인플루엔자, 지카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등이 있다. 바이러스는 자체증식이 불가능하며 반드시 숙주가 존재해야 증식이 가능하며 바이러스는 미량개체로도 발병이 가능해 세균보다 전염성이 더 큽니다.
바이러스감염 치료법이나 항세제로는 죽일 수 없고 그에 맞는 백신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바이러스가 세포 안에서 증식하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죽일 때 세포까지 죽일 수 있어 치명적이고 바이러스는 돌연변이가 많고 배양 자체가 어려워 백신이나 치료제를 만드는 일이 쉽지 않습니다.
또한 바이러스는 대부분 2차 감염이 되기 때문에 예방이 가장 중요한데 그 첫 번째로는 가장 기본인 손 씻기를 통한 개인위생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